22.07.06 - 로봇모션제어기와 드라이브(엔코더) 강점 보유
매출구성은 로봇모션제어기와 에너지제어장치
- 21년 각각 비중 48%:52%. 22년 1분기 62%:38%로 로봇 비중 높아짐
- 로봇쪽이 수익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특히 통합제품군)
수출은 직수출과 간접수출 포함 30~40%
- 직수출은 로크웰이 130~150억, 야스카와 50~60억 수준
- 간접은 삼성전자 베트남, 중국 법인쪽
매출처이면서 경쟁사
- 로크웰이나 야스카와는 매출처이면서 경쟁사임
- LG, LS, 현대, 지멘스, 슈나이더 등이 경쟁사, LG일렉트릭은 동사에 20억 유증해감
로봇모션제어기와 드라이브(엔코더), 터치패널 등 직접 개발
- 모터는 일본 타마카와 세이키, 국내는 코모텍 사용, 감속기는 일본 파나소닉 것 사용
- 동사 개발 엔코더는 모터의 핵심부품으로 코모텍에는 납품됨. 일본에는 안 됨
초기 진입장벽 높지만 국산화 노력으로 외형 성장 전망
- 한일 소부장 분쟁으로 국산화 장려로 국내 수요처 생김
21.04.29 - 공장 자동화 설비를 위한 로봇모션 제어 전문기업(한국 IR협의회)
주요 제품은 로봇모션 제어기, 드라이브, 터치 패널 등
- 자동화 통합 솔루션 제공 중, 독보적 제어 기술로 스마트 팩토리에 대응
차세대 지능형 로봇모션 제어 기술
- 독립형 모션 제어기부터 다축 모션 제어기까지 다양한 제어기 제공
전문화된 연구개발 인력과 연구성과를 통한 기술력 확보
- 평균 14년의 기술개발 경력의 연구진
- 연구소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우수기술연구센터로 지정
I. 기업 현황
개요
- 09년 12월 로크웰오토메이션코리아로부터 컴포넌트 제어기 사업 부문을 양수받음
- 본사는 평택
계열회사 지분 보유율
- 알에스시스템즈 100%
- 닝보신지자동화유한공사 49%
대표이사
- 강덕현 97년 삼성전자 연구소장 출신으로 2002년 로크웰삼성오토메이션 전무 역임
사업영역
- 로봇모션 제어 사업과 에너지 제어 사업(ESS 및 태양광 전력변환장치)으로 구분
주요용어
- 광학식 엔코더 : 통신 또는 펄스 등의 신호를 통해 모터를 제어하고 드라이브로 현재 상태를 전달
- 서보 드라이브 : 상위제어기로부터 위치, 속도, 토크 등 명령을 받아 서보모터의 위치, 속도, 토크를 제어하는 교류전력변환기
- PCS : 파워 컨디셔닝 시스템으로 전력변환장치 의미
II. 시장 동향
산업용 로봇(자동화 설비)산업 동향
- 전방산업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자동차, 이차전지 등의 제조기술 복잡화로 다관절 로봇의 수요가 확대
III. 기술분석
차세대 지능형 로봇 모션 제어기술 보유
모션 제어 기술
- 기계의 위치와 속도 제어를 위한 필수적인 기술로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 및 검사 장비의 가장 기본적 요구 기술
- 분야별로 구분하면 액츄에이션 시스템, 센서, 드라이브, 제어기로 분류
드라이브 : 저전력 신호를 고전력 신호로 변환. 인코딩 및 센서 기능도 통합 중
차세대 지능형 로봇모션 제어 5대 핵심 기술 보유
- 스마트팩토리 대응 기술
- 인간 보호 및 로봇모션 안전 기술
- AI 기반 지능형 로봇모션 제어 기술
- SoC기반 올인원 모션 제어 플랫폼 기술
- 소형 고효율 전력변환 기술
공장 자동화 설비에 사용되는 제품
- 로봇 모션 제어기, 드라이브
- 품목으로는 PLC, MMC, DIO, 서보 드라이브, 엔코더 등
SWOT 분석
1. 강점 : 기술 장기간 축적. 소형부터 대형까지 자동화 통합 솔루션 제공
2. 기회 : 산업용 로봇 산업 성장, 중소기업 공장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정부 지원
3. 약점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에 집중된 고객
4. 위혐 : 소수의 해외업체가 선점
IV. 재무분석
2020년 매출액 비중 : 로봇 모션 제어기 45%, 에너지 제어장치 55%
매출액 회복했으나 수익성 적자 전환
리포트 분석 결과
동사에 대한 리포트가 전무하다. IR협의회는 의무자료인 성격이 높다보니, 실제로는 IBK투자증권에서 로봇 산업보고서가 나올 때 함께 나온 것이 전부다.
쉽게 생각해서 동사는 로봇을 제어하는 부품을 생산하는 사업부와 에너지를 제어하는 사업부(ESS 및 태양광 전력변환장치를 생산)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 로봇 제어 부품이다보니 자동화 통합 솔루션도 함께 하고 있어 스마트 팩토리에 대응 가능하다.
로봇 사업부가 이익률도 높고 앞으로 기대하는 부분이다.
수출 비중이 30%가 넘음
로봇 제어라는 것은 결국 전기 신호로 하기 때문에 관련된 드라이브, 엔코더, 센서, 제어기 등 필요함. 그 부품들을 동사에서 연구/개발/생산 하고 있다 (*드라이브에서 엔코더와 센서 기능도 통합 중)
제조 기술 복잡화로 산업용 다관절 로봇의 수요가 확대 되어 동사에 기회요인이다.
-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 특화됨
출발이 삼성쪽이라서 기술력은 양호해보이나, 이익률로 봤을 때는 시장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알아볼 것은....
* 로봇모션제어기 중에서 매출이 높은 제품이 무엇인지?(드라이브/엔코더/PLC제어기 등)
* 엔코더와 드라이브의 기술 수준은 일본을 대체할 수 있나?
공감(♡)은 글 작성에 힘이 됩니다.(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누를 수 있어요~)
'기업분석 > 로봇(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에스오토메이션 사업보고서 분석(기타 참고 사항 부분) (3) | 2022.10.24 |
---|---|
알에스오토메이션 사업보고서 분석(개요~연구개발 부분) (3) | 2022.10.19 |
아진엑스텍 사업보고서 분석(22년 반기) (0) | 2022.10.18 |
아진엑스텍 - 로봇 모션 제어기, 메타버스, XR 관련주 기본 분석(뉴스 및 주가) (1) | 2022.10.13 |
알에스오토메이션 - 로봇 부품 드라이브 관련주 기본 주가 분석(네이버증권, 뉴스) (2)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