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공휴일과 연휴, 대체공휴일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공휴일 중 명절, 국경일, 어린이날이 주말(토요일, 일요일)과 겹칠 경우에 그다음 날 하루 더 쉴 수 있는 대체 공휴일이 확대 추진 중입니다. 대체공휴일 제도와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에 대한 정리를 하였습니다.
2023년 공휴일
23년 전체 공유일 일수는 67일이고 3일 이상 연휴는 5번이 있습니다.
휴일이 하루도 없는 달은 2월, 4월, 7월, 11월로 4번이나 되네요. 아쉽습니다.
대체공휴일
우선 현재 대체공휴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정(설날), 추석
2. 어린이날
3. 국경일 :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명절과 어린이날은 2014년부터 이미 적용 중이었고 국경일은 2021년부터 적용하고 있습니다.(제헌절은 국경일인데 공휴일로 애초에 지정되어 있지 않아서 대체공휴일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번에 여당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체공휴일 확대는 종교 관련한 휴일입니다. 현재 석가탄신일과 성탄절(크리스마스)은 주말과 겹치면 쉬지 못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명절의 경우 주말과 겹치면 최대 4일까지 쉴 수 있도록 대체공휴일이 적용됩니다.
A. 설 연휴가 수목금 : 5일 휴식
B. 설 연휴가 목금토 : 4일 휴식(대체공휴일 적용 없음)
C. 설 연휴가 금토일 : 4일 휴식(대체공휴일 월요일 적용)
찬반 의견
당연히 근로자 입장에서 대체공휴일은 반가운 제도입니다. 하루 더 쉴 수 있기 때문이죠.
반면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아쉽습니다. 월급은 그대로 줘야 하는데 하루치만큼 생산량은 나오지 않기 때문이죠. 그리고 주중 하루 쉬는 것이 아니라 연휴로 인한 생산관리 어려움이 있습니다.
정부 입장에서는 기업의 생산량은 줄지만, 사람들의 여행이나 외출로 소비가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하게 됩니다.
2023년 대체공휴일
2023년에는 전체 공휴일이 평년보다 2일 적어진 13일뿐이 되지 않습니다. 대체공휴일은 설날 연휴 딱 하루입니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것과 같이 크리스마스와 석가탄신일도 지정되어 쉬는 날이 늘어나길 바랍니다.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예정, 노인 무임승차 적자 폭 확대 (0) | 2022.12.25 |
---|---|
배달의민족 추천인 신규 가입 쿠폰 이벤트, 배민 초대코드 할인 (0) | 2022.12.22 |
일회용품 사용 규제 확대 - 음식점 카페 편의점 등 비닐봉투(봉지), 종이컵 금지 (0) | 2022.12.19 |
가스레인지 점화플러그 고장 수리 해결(이렇게 간단한 것을, 건전지) (0) | 2022.12.13 |
아이허브 신규 회원 가입 혜택, 이용 방법, 아이허브 할인코드 적용(기존 회원), 주의사항 (0) | 2022.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