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메카 공모주 요약
로봇산업에 대한 개별 종목들을 분석 중에 있는데, 뉴로메카라는 협동 로봇 관련주가 공모에 나선다는 소식을 듣고 내용을 정리하였다.
현재 기관 수요예측 단계로 결과 나오면 업데이트 할 예정이고 공모가도 그때 결정될 것인데 현재 밴드로 14,000원~16,900원으로 되어 있다. 》최종 16,900원 확정
참고로 협동로봇은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일할 수 있는 로봇으로 현재는 치킨, 커피 제조 등의 사용되고 있다.
공모 일정 및 수요예측 결과
우선 공모 일정은 다음과 같다.
- 10월 20일(목) ~ 21일(금) : 기관 수요예측
- 10월 25일(화) : 공모가 16,900원 확정
- 10월 26일(수) ~ 27일(목) : 일반 청약(100% 신주 모집)
- 10월 31일(월) : 환불
- 11월 4일(금) : 코스닥 상장 예정(기술 특례 방식)
간략하게 공모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희망 공모가 : 14,000원~16,900원
- 공모 예정금액 : 210억~254억, 254억 확정
- 예상 시총 : 1,380억 ~ 1,665억, 1,665억 확정
- 대표주관사 : 대신증권
수요예측 결과
1,652대 1로 잘 나왔음
뉴스로 본 뉴로메카 - IPO 간담회 발표 현장
한국경제의 뉴로메카 IPO 간담회 발표 뉴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사는 협동로봇 전문 업체로 제품과 플랫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 브랜드명은 '인디'로 식음료업과 제조업에 활용되고 있으며 교촌 치킨에 치킨 튀기는 로봇으로 납품하였다.
21년 매출액은 73억이며 향후 매출액은 다음과 같이 전망된다
- 22년 129억
- 23년 237억
- 25년 572억
단, 영업이익은 2018년부터 적자이고, 회사 대표는 22년 하반기 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다.(반기 기준).
동사는 모터와, 감속기 등 핵심 부품을 내재화 추진하고 있고 제품 및 자동화 서비스로 토탈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공모자금 207억은 생산 시설 확충에 100억 사용하고 나머지는 개발 및 인력 확보 등에 투입 예정이다.
뉴로메카 투자설명서 분석
뉴로메카의 손익 계산서 : 매년 30억~80억 가량 손실을 보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도 -23억인데, 회사에서는 하반기는 흑자 전환하고 내년에는 연도 기준으로 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
매출액은 최근 기준으로 보면 70~100억 수준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FuFUv/btrPh8t1js5/rU2EpWMoBKK6EgOmZnKuwK/img.png)
제품별 매출현황 : 협동 로봇 비중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용역 매출은 협동로봇 혹은 델타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위한 공정 자동화 솔루션입니다.
연구개발비용 : 매출액의 상당 부분을 여기에 쏟고 있다. 순수 자체 비용은 19~20년에 27억~39억을 사용했는데 최근 2년은 12~15억 수준으로 낮아졌다. 개발이 어느 정도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매출액 중 수출 : 현재 거의 없으며 19년에는 1/3 정도가 수출로 23억 있었다.
주요 협동 로봇 제조사 매출 비교 : 협동 로봇으로만 보면 레인보우로보틱스만한 곳이 없다. 아무튼 2020년도에는 코로나 때문에 동사는 영향을 받았다는데 레인보우는 잘 성장했다.
동사 회사 대표는 2025년까지 매출액을 570억에 영업이익률 30% 달성 예상한다고 했는데, 근거를 한 번 살펴봤다.
- 올해 매출액이 129억인데, 내년에는 2배가 되고 그 성장한 만큼 24년에 성장할 계획이다. 영업이익은 규모의 경제만 달성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나 본다. (23년 7%, 24년 21%)
매출액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 : 볼륨모델을 가장 핵심으로 밀고 있다.
- 볼륨모델은 Indy7인데 F&B가 아닌 분야에 사용되나 보다.
- 물류 로봇은 자율주행 물류 로봇보다는 산업용 혹은 물류+협동 로봇으로 할 계획인 듯 보인다.
- 모터와 감속기도 자체 생산하여 10% 못 미치는 매출을 계획으로 잡아놨다.
자료를 보다 보니까 분석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는 것 같다. 어차피 25년까지 계획은 지금 현재에서 긍정적인 전망으로 작성된 것인데, 당장 내년도 실적을 알 수 없으니까.
그래서 비슷한 사업을 하는 레인보우로보틱스로 공모가가 어느 정도인지 비교해봤다.
- 오늘 레인보우는 시총이 5,260억이다. 올해 예상 매출액이 140억이니까 PSR 38배 정도 된다.
- 레인보우는 21년 4분기부터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20년도에도 적자 폭을 상당히 줄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anvRk/btrPfWBwdw2/yBFKxRllGPo4RR51x8Jgs0/img.png)
뉴로메카의 2022년 예상 매출과 영업이익은 129억/-18억이다. 공모가 14,000원 기준으로는 시총이 1,380억이고 상단인 16,900원으로는 1,665억이다.
상단 기준으로 보면 1,665/129=13배. 13배!! 적자를 보고 있지만, 레인보우 38배에 비하면 저렴하게 보인다.(다시 말하지만, 레인보우는 흑자 회사이고 기술력은 이미 시장에서 검증되었음)
만약에 회사 계획대로 25년도에 159억 영업이익 나면 할인율 적용 안 하고 단순 PER로 보면 10배다(이렇게 보니 레인보우가 과대평가돼있는 것 같기도 함)
내 생각에는 공모가가 비싸다 싸다를 논할 수 없을 것 같다. 다만, 비슷한 사업을 하는 타 로봇 회사에 비해서 공모가는 싼 것 같다. '청약을 해봐도 좋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다.
매매 추천 글이 아님을 분명히 밝힙니다.
공감(♡)은 글 작성에 힘이 됩니다.(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누를 수 있어요~)
'기업분석 > 로봇(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자산운용 로봇 관련 ETF 'KODEX K-로봇액티브' 구성 종목과 비중 분석 (0) | 2022.12.01 |
---|---|
유일로보틱스 주담(IR)통화, 스마트 공장 자동화 관련주 (2) | 2022.10.31 |
삼성 K-로봇 ETF 보유 종목(로봇 관련주) (0) | 2022.10.20 |
로봇 산업에 대한 고찰 (0) | 2022.10.17 |
반도체 진공 로봇 관련주 라온테크 - 기본 사항과 사업보고서 분석 (2)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