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로봇(종합)

유일로보틱스 - 사업보고서 분석

by 최차장 2022. 10. 9.
반응형

유일로보틱스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하였다. (22년 2분기 반기보고서)

 

 

I. 회사의 개요

 

설립일 : 2011년 12월 16일

본사 : 인천 남동구 (11년 남구 설립, 15년 남동구로 이전)

상호 : 21년 6월 유일시스템에서 유일로보틱스로 변경

 

 

주요 사업의 내용

- 직교/협동/다관절 로봇 등 산업용 로봇 : 매출 비중 22%

- 스마트기기(사출주변기기)로 구성된 자동화 시스템 : 매출 비중 70%

 


II. 사업의 내용

 

우선 용어 설명

- 직교로봇 : XY로봇으로 불리고 산업용 로봇 중 가장 간단한 구조

- 다관절 로봇 : 회전 운동을 하는 여러 개의 관절들이 조합된 로봇. 전산업에 사용되며 공장자동화의 핵심 역할

- 협동 로봇 : 코봇으로 불리기도 함

- 액츄에이터 : 제어기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대상을 제어하는데 쓰이는 기계장치(유압을 생각하면 쉬움)

- 서보 드라이브 모듈 : 서보모터에 적합한 형태로 전력을 변환하여 제어하는 시스템

- 제어기 : 제어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 출력 구동 신호를 주는 장치

 

 

1. 사업의 개요

자동화시스템 및 산업용 로봇 사업의 성장 잠재력

- 제조업의 인력부족과 원가상승으로 수요 발생 기대

-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에 영향이 적음

- 품질 안전성과 생산력 향상을 도모하는 제조현장에 맞는 효율성 추구와 맞물림

 

동사의 플라스틱 사출 자동화 시스템은 자동차, 의료기기, 2차 전지,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제조산업에 적용

 

다관절 로봇과 협동로봇을 자체 개발하여 판매 중이며, 산업용 로봇을 여러 SW와 결합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최종적인 목표로 하고 있음

 

 

주요 제품

- 자동화 시스템 : 자동 원료 공급(오토피딩) 시스템과 냉각시스템

- 산업용 로봇 : 직교 로봇은 사출성형기에서 플라스틱 제품 빼내는 전용 로봇, 다관절은 YMX시리즈, 협동은 EC 시리즈

 

 

매출 (단위는 백만 원이며, 기타는 AS 부품)

 

 

 

(1) 산업용 로봇 3가지

직교 로봇

- 사출성형기의 금형 내에서 가공된 플라스틱 제품을 빼내는 로봇

- 빼내는 것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으로의 로딩이나, 적재 등 추가 작업 수행

- FOX, YTX, YTX2, YTR 시리즈

 

이런식으로 생김

 

 

다관절 로봇(=회전 관절이 있는 로봇)

- 3D 업종으로 기피되는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등에 도입되면서 고도화되고 있음

- 동사는 4축, 6축 관절로 구성되어 조립, 아크용접, 포장, 취출, 전기/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 현재 시제품 단계로 일부 사출 현장에 판매 실적 있음

- YMX 시리즈

 

 

 

협동 로봇

- 동사 제품은 6축으로 구성된 YCO시리즈 (제품명은 EC-??)

- 현재 시제품 개발 단계에 있고 사출 현장에 판매 실적 있음

 

 

 

 

(2) 사출주변기기 및 자동화시스템

 

(가) 사출주변기기(스마트기기)

종류로는 금형 온도조절기, 칠러, 제습건조기, 호퍼로더, 분쇄기, 믹서, 압축공기건조기, 탱크, 사이클론 등

사출성형 : 플라스틱 수지를 녹여 원하는 제품으로 성형해 만드는 방식의 제조 형태

즉, 원료에 열을 가해 녹이고 제품으로 만들고 식히는 과정 필요.

 

스마트기기는 사출성형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자동화시스템을 의미

- 크게 원재료 이송 자동 제어하는 오토피딩시스템

- 온도 관리하는 냉각 메인 시스템

 

이런 기기들

 

 

(나) 자동화시스템

 

 

입고 원료를 저장 보관하고 건조 후 믹싱 하여 자동으로 투입하는 시스템.

(*사실 크게 대단한 것은 아닌 것 같은데.... 이미 70년대부터 하던 방식으로 보이는데 특별한가?)

 

 

 

원재료는 주로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음

 

좌측부터 22년 반기, 21년, 20년

 

 

생산능력 및 실적 : 주문자 요청에 의한 수주 방식으로 매우 다양하여 산정이 어려움

- 주로 생산 인원이 조립하여 완제품 제작 후 고객 현장에 시공 설치하고 있음

 

반응형

 

생산설비의 투자계획

- 기존 1공장 및 21년 7월 취득한 2공장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향후 대규모 통합 공장을 위한 부동산 취득 계획

- 신축공장 토지 구입에 120억 (썼다는 건가? 계획이라는 건가?)

 

 

매출실적 : 로봇은 내수가 80~90%, 자동화도 80~90%

 

 

 

영업조직

- 베트남에 법인 신설

- 해외의 경우 지사가 없는 국가는 전문 업체와 에이젼트 계약으로 기술영업 중(인도, 멕시코, 태국, 인도네시아)

- 적극적으로 해외영업 수행 중(전시회 참석 등)

 

 

수주 상황 : 수주일부터 납기까지 보통 1~2개월로 짧음

 

 

연구개발 조직 : 소장 포함 총 16명(석사 3, 학사 2, 전문학사 11)

 

 

핵심 연구원들의 스펙은 아무래도 학력을 보게 되는데... 숭실대, 건국대, 명지대, 단국대.

 

스마트팩토리 파트는 자체 보유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 전문 솔루션인 '링크팩토리 4.0'을 보유.

2020년 협동로봇 링크봇을 론칭함

 

연구개발비용 비율 : 20년/21년/22년 - 2.4%/ 4.2%/ 6.5%

 

주요 연구개발 실적

 

아래 2가지는 진행 중

 

 

7. 기타 참고 사항

(본인들 자랑이지만,) 로봇 기술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의 확장 능력까지 보유한 회사는 당사가 유일함

 

전방산업 별 매출 구성

- 자동차 32%, 가전 28%, 화장품 15%, 물류 자동화 등 기타 25%

- 향후에는 2차 전지, 의료기기 등 적용 예상

 

 

주요 사업계획

(가) 링크봇(Linkbot)

- 이미지를 인식하는 레이더 센서를 탑재하였는데, 레이더의 단점(작은 물체 식별 어려움) 보완하고자 단파장을 사용하여 1mm 미만 범위의 정확도 제공하는 mmWave 센서 로봇을 개발함

- 그리고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네트워크에 연결

 

(나) 링크-팩토리 4.0

- 스마트기기와 공장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 스마트 SCADA 시스템과 WMA/MES 시스템으로 구성


최종 정리

지난 번 글에서 궁금했던 사항들 중 두 가지(1번, 2번)는 해결 되었다. 나머지는 주담하고 통화를 한 번 해봐야겠다.

 

1. 공장 자동화(오토피딩, 냉각시스템) 매출이 어느 정도인지? 70%

2. 로봇 매출은? 22%

 

 

사업보고서에는 자동화시스템을 특별하게 말하고 있는데, 내가 보기에는 그렇게 특별할 게 없어보인다. 공장 자동화와 데이터 연결하는 건 그렇게 어려운 작업이 아닌데..

 

로봇도 특별히 기술력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내재화율이 중요한데 오히려 동사는 로봇과 자동화 시스템을 연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 않나 싶다.

 

대규모로 투자하여 공장을 통합한다고 하는데, 토지 비용만 120억이라서 당분간 돈도 못 버는데 과연 주가가 버틸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든다.

 

 

*매매 추천 글이 아님을 분명히 밝힙니다.
*공감(♡)은 글 작성에 힘이 됩니다.(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누를 수 있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