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피지 22년 2분기 실적
2분기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1,190억 / 63억 / 57억
- 매출은 예상치대로 나왔는데 영업이익은 적게 나왔음
실적 발표 이후에(8/12일) 17,000원에서 지속 하락하고 있으나, 최근 시장이 좋지 않은 것 감안하면 실적 실망감은 아닌 것을 보임
에스피지 주요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다.
- 전자제품 모터 및 산업용 모터의 매출이 대부분인 회사가 로봇 향 감속기 신사업 추진
- SR감속기 : 제조용 로봇, 공작기계 등 (현재 증설 추진 중)
- SH감속기 : 고정밀 소형 로봇
로봇 관련 공부 차원에서 사업보고서를 정리하려고 한다(마침 최근에 IR 자료도 발행하여서 IR자료 리뷰도 함)
에스피지 22년 8월 IR 자료
회사 소개를 '기어드 모터 전문 기업'으로 하고 있음
매출은 가전 2/3, 산업 1/3
![](https://blog.kakaocdn.net/dn/AuzW3/btrK3YiVA3K/CqOUtDcqQzTdj1fP6rhkJK/img.png)
판매법인 : 중국, 미국
사업 분야 : 산업 부문
- 현재 주력 : FA, OLED, 물류자동화, 2차전지 조립 공정 등
- 차기 주력 : 로봇, 반도체 장비
![](https://blog.kakaocdn.net/dn/QICwx/btrKZ63mmfT/EDStnQGly6YBZ1iNPdt6uK/img.png)
성장동력 : 스마트팩토리
사업분야 : 로봇(반도체 장비 포함) 부문
- 다양한 아이템 보유
![](https://blog.kakaocdn.net/dn/Lf51f/btrK4Fi5vny/cKnTNJmhEcAljtWpeK5Km0/img.png)
로봇용(반도체 장비) 감속기로 : SH, SR
클린룸용 FFU, EFU 시장 진입
스마트 팜 시장 진입
사업 분야 : 가전 부문 (차기 주력으로 스마트 가전 집중)
![](https://blog.kakaocdn.net/dn/qv2hd/btrRhI2IHhx/AuJBHnEIJKKPiukagUrRk1/img.png)
에스피지(SPG) 22년 2분기 반기보고서
I. 회사의 개요
6. 주요 사업의 내용
정밀 제어용 기어드 모터 전문 생산 및 판매. 자동화 시스템 및 가전 등에 사용되는 모터에 기어 박스 세트(감속 기어)를 부착.
제품의 주요 용도는 첫째, FA(공장자동화) 용도로 생산라인 컨베이어 구동 용도 기기. 둘째, OA(사무자동화) 용도로 복사기 등. 셋째, HA(가정 자동화) 용도로 냉장고 얼음분쇄기 등 가전. 16년도 FAN 모터 제조업체 성신을 흡수 합병. 성신의 주요 사업은 냉장고, 에어컨, 식기세척기 등 사용되는 소형 모터 생산 및 판매. 경기 변동 민감도가 낮은 편.
* 에스피지는 주로 힘을 주는 용도의 모터 관련 제품을. 성신은 팬 모터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듯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다품종 소량 생산 적합한 모터와 소품종 대량 생산 적합한 모터가 따로 있음. 그 외 로봇용 제품과 유성감소기 등.
![](https://blog.kakaocdn.net/dn/nMVpg/btrKZ8to0lh/6zY9iCZOW3hv8xIFbKuYO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AoJh/btrK4DewsfR/3IC67shh890SpSJKBIcj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FzMWk/btrK4DliuJi/Fhdr0v8bW4qlg5RJM9nvF1/img.png)
진행 중인 투자 : 67%는 완료
![](https://blog.kakaocdn.net/dn/r3tfC/btrK0GDj88E/tXYAgzbj83GyJfz8e48CvK/img.png)
지역별 매출 : 국내 비중은 비슷한 수준이고, 중국이 소폭 감소
![](https://blog.kakaocdn.net/dn/bgQJg2/btrK4V62161/jvNJk0azlnSIj71AQ02KY0/img.png)
7. 기타 참고사항
소형 모터는 일반적으로 외경 35mm 이하의 DC 모터, 출력 100W 미만의 AC 모타와 소형화가 가능한 모터를 총칭함. 기어드 모터는 기존의 모터에 기어 박스 세트를 부착하여 속도 및 토크를 컨트롤할 수 있어 높은 부가가치 창출.
![](https://blog.kakaocdn.net/dn/cfrxnI/btrK48ylRJZ/XjEeJ7naTdO8Ki0OlpZsa1/img.png)
DC 모터 : 직류모터
스테핑 모터 : 각도 변화하거나 위치 유지 및 정지 기능 모터
AC 모터 : 교류 모터
시장의 특징으로는 완성품 업체가 해외로 이전하면서 모터 업체도 함께 이전하는 추세. 최근에는 BLDC 모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용 BLDC 기어드 모터 수요도 사용 용도 확대 추세.
소형 모터는 일본이 80% 생산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기지를 중국 및 동남아로 이전 완료. 미주지역도 멕시코, 중국 등으로 이전.
소형 기어드 모터의 개발 및 생산은 뒤늦게 이뤄졌으며 업체별 양극화 뚜렷함. 기어의 정밀가공 기술이 매우 중요한 특성을 갖고 있어 생산 및 가공 기술이 열악할수록 제품 문제점(내구성, 소음, 진동) 발생함.
시장점유율(추정)
- 국내 표준 AC 기어드 모터 57%, 표준 DC 모터 33%
- 세계는 일본 오리엔탈, 파나소닉, 일본전산이 주도 중이며 당사는 그 점유율을 뺏어오려고 노력 중
가전시장은 소형 모터의 최대 시장이 되고 있음. 자동차용도 고급화 전자화로 인하여 모터 탑재량이 증가 추세.
소형(기어드) 모터는 사용 범위가 첨단 전자기기부터 재래시장 김구이까지 다양하여 경기변동 사이클에 덜 민감
경쟁요소
- 국내 경쟁사는 매출 순위 5위권 업체들이 각축 중. (당사 1위)
- 중국 범용 제품이 시장 잠식하고 있음. 당사는 고품질로 대응 중
자원조달은 90% 이상 국내에서 조달하여 조달에는 크게 문제없음.
<재무제표 주석>
종속기업 실적 : 전사 모두 작년 전반기보다 월등한 실적
![](https://blog.kakaocdn.net/dn/0j7TA/btrK30gKS2N/QXPdXCbO1B223GBBd0b2L1/img.png)
현금성 자산은 182억에서 117억으로 감소
![](https://blog.kakaocdn.net/dn/bCU9Ou/btrK30OzO3O/NerrVg1mC2Qwh1tECf5Ic1/img.png)
매출채권 : 매출이 증가하면서 매출채권도 증가하는 게 자연스러우나, 3개월 이내 연체된 매출채권이 143억으로 급증함
![](https://blog.kakaocdn.net/dn/cayGmX/btrK1rspdei/z0YBv6KG6Ru6mg5qkZBSuK/img.png)
재고자산은 제품, 재공품, 원재료 골고루 증가함
![](https://blog.kakaocdn.net/dn/tvs4e/btrK3ZCasUe/OArerRGza0Nzco1SlcH6I0/img.png)
비용 : 2분기에는 경상개발비 처리가 35억으로 많은 편
- 매출이 늘었는데 지급수수료, 소모품비, 외주가공비가 큰 차이가 없는 것은 긍정적
![](https://blog.kakaocdn.net/dn/bJpA0x/btrK4FJ9LZ3/Cou9HagfXF3RJKXYtDwFi0/img.png)
기타 수익과 비용 : 외환으로 재미를 본 듯, 2분기 수익 55억, 비용 39억
![](https://blog.kakaocdn.net/dn/c34y3O/btrK5wTgKOc/kDwiyy1hSXfCLXceBb05T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9rL1u/btrK2mLa7hS/OTNiy7gS0kCbuo4lpkTnsk/img.png)
이상 에스피지 22년 2분기 반기보고서에 대한 분석을 마칩니다!
공감(♡)은 글 작성에 힘이 됩니다.(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누를 수 있어요~)
'기업분석 > 감속기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 실외 자율주행로봇 관련주 로보티즈 - 증권사 리포트 분석 (3) | 2022.10.06 |
---|---|
로보티즈 급등 - 로봇 ETF, 미국 IRA, 로봇배송 등 이슈 많음 (9) | 2022.09.20 |
감속기 관련주 로보티즈 - 사업보고서 분석(다이나믹셀, 집개미, 일개미) (0) | 2022.09.15 |
로봇 감속기 관련주 로보티즈는 가능성 있는가? 기본분석(네이버 증권, 홈페이지, 뉴스) (2) | 2022.09.13 |
우림피티에스 로봇 감속기 관련주일까?? + 기본분석(네이버증권, 홈페이지, 뉴스) (0) | 2022.09.06 |
댓글